"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1. 서론: JRPG 황금기의 숨은 보석
90년대 JRPG(일본식 롤플레잉 게임) 전성기에는 수많은 명작이 탄생했다. 파이널 판타지, 드래곤 퀘스트 같은 거대 프랜차이즈가 주목받던 시절, 게임 아츠(Game Arts)에서 출시한 그랑디아(Grandia, 1997)는 혁신적인 시스템과 감동적인 스토리로 많은 게이머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그랑디아는 단순한 향수에 그치지 않는다. 오랜 시간이 지나도 여전히 매력적인 탐험 요소, 전략적인 전투 시스템, 그리고 순수한 모험 정신을 담고 있다. 하지만 고전 게임을 즐기려는 플레이어들에게는 불편한 점도 존재한다. 이번 칼럼에서는 그랑디아를 지금 다시 플레이해야 하는 이유와, 현대 게이머들이 겪을 수 있는 불편함을 전문가의 시각에서 살펴보겠다.
2. 그랑디아의 매력: 지금 해도 재미있는 이유
1) 매력적인 스토리와 캐릭터
그랑디아의 주인공 저스틴(Justin)은 모험가를 꿈꾸는 소년이다. 그는 전설 속 문명을 찾아 떠나면서 점점 성장하고, 다양한 동료들을 만나게 된다. 특히 피나(Feena)라는 여성 캐릭터와의 관계는 JRPG 역사상 가장 순수하면서도 감동적인 러브스토리로 평가받는다.
이 게임은 단순히 세상을 구하는 이야기보다 모험을 통해 성장하는 소년의 이야기에 집중한다. "위대한 모험"을 떠나는 순수한 동심을 담은 스토리는 지금도 충분히 공감할 수 있다.
2) 혁신적인 전투 시스템
그랑디아의 반(半)턴제 전투 시스템은 당시 기준으로 매우 독창적이었다.
- IP(이니셔티브 포인트) 시스템을 통해 적과 아군의 행동 순서를 실시간으로 조정할 수 있다.
- 적이 공격하기 직전에 강력한 공격으로 **행동을 캔슬(cancel)**하는 전술이 중요하다.
- 다양한 마법과 기술을 조합하여 스킬 레벨을 올리는 성장 시스템이 있다.
이러한 전투 시스템은 현대적인 감각으로 봐도 여전히 재미있으며, 그랑디아 시리즈 전체의 특징으로 자리 잡았다.
3) 방대한 탐험 요소와 숨겨진 콘텐츠
그랑디아는 탐험의 재미를 강조한 게임이다.
- 필드는 2D 캐릭터와 3D 배경이 조화롭게 어우러진 구조로, 당대 기준으로 매우 혁신적이었다.
- 숨겨진 아이템과 보너스 이벤트가 많아 탐험할수록 새로운 요소를 발견할 수 있다.
- 스토리 전개와 함께 도시와 던전이 변화하여, 같은 장소라도 새로운 느낌을 준다.
이러한 요소들은 단순한 스토리 진행이 아니라 모험하는 재미를 극대화한다.
3. 그랑디아를 지금 하면 불편한 점
1) 오래된 그래픽과 UI
1997년 출시된 게임인 만큼, 그래픽은 확실히 시대의 흔적을 느낄 수 있다.
- 2D 캐릭터와 3D 배경이 섞여 있어서, 요즘 기준으로 보면 조악해 보일 수 있다.
- UI(유저 인터페이스)가 다소 불편하며, 메뉴 조작이 직관적이지 않다.
- 텍스트 폰트가 작고, 가독성이 좋지 않아 장시간 플레이가 힘들 수 있다.
2) 느린 진행 속도
그랑디아는 JRPG 특유의 서정적인 이야기 전개를 강조하다 보니, 진행이 느리다.
- 초반부 스토리는 본격적인 모험이 시작되기까지 시간이 걸린다.
- 대화량이 많고, 컷신(이벤트 장면)이 자주 나오기 때문에 템포가 다소 답답할 수 있다.
- 전투도 전략적인 요소가 있지만, 애니메이션이 길어 반복 전투가 피로하게 느껴질 수 있다.
3) 플랫폼 문제: 어디서 플레이할 것인가?
현재 그랑디아는 다양한 플랫폼에서 플레이할 수 있다.
- 그랑디아 HD 리마스터 (Grandia HD Remaster, 2019)가 PC(Steam)와 닌텐도 스위치에서 출시되었다.
- PS1 버전, 세가 새턴 버전은 중고로 구하기 어렵다.
- 모바일 이식판이 없어서 스마트폰으로 플레이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HD 리마스터 버전은 해상도가 개선되었지만, UI 개선이 미흡하고 일부 그래픽이 원본보다 퇴보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따라서 원작의 감성을 살리려면 PS1 에뮬레이터 등을 활용하는 방법도 고려할 수 있다.
4. 결론: 여전히 사랑받을 가치가 있는 게임
그랑디아는 단순한 "옛날 게임"이 아니다.
순수한 모험의 감성을 담은 스토리, 전략적인 전투 시스템, 방대한 탐험 요소는 지금도 충분히 매력적이다.
하지만, 오래된 그래픽과 느린 진행 속도는 현대적인 게임에 익숙한 게이머들에게 불편하게 느껴질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JRPG 팬이라면 반드시 한 번쯤 경험해야 할 명작이라고 단언할 수 있다.
✅ 이런 사람에게 추천합니다!
✔️ JRPG의 황금기를 경험하고 싶은 사람
✔️ 감동적인 성장 스토리를 좋아하는 사람
✔️ 전략적인 턴제 전투를 즐기는 사람
✔️ 옛날 게임을 플레이하는 데 거부감이 없는 사람
❌ 이런 사람에게는 비추천
❌ 빠른 템포의 게임을 좋아하는 사람
❌ 화려한 그래픽과 최신 UI가 필수인 사람
❌ 반복적인 전투에 쉽게 질리는 사람
"90년대 JRPG의 정수를 느끼고 싶다면, 그랑디아는 여전히 최고의 선택 중 하나다."
제품 링크
* 그랑디아 1 & 2 HD 합본판
https://link.coupang.com/a/chN7oC
닌텐도 스위치 그란디아 HD 컬렉션 - 게임타이틀 | 쿠팡
쿠팡에서 닌텐도 스위치 그란디아 HD 컬렉션 구매하고 더 많은 혜택을 받으세요! 지금 할인중인 다른 게임타이틀 제품도 바로 쿠팡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www.coupang.com
관련 글
2025.01.20 - [게임/고전게임] - [한국 고전게임의 발자취] '화이트데이', 한국적 감성을 녹여낸 국산 호러 명작!
[한국 고전게임의 발자취] '화이트데이', 한국적 감성을 녹여낸 국산 호러 명작!
한국 게임사의 한 페이지를 장식하는 손노리의 화이트데이: 학교라는 이름의 미궁은 단순한 공포 게임을 넘어 국내 게임 역사에 큰 족적을 남긴 작품이다. 2001년 출시된 이 게임은 당시로서는
bravonglife.com
2025.01.20 - [게임/고전게임] - [한국 고전게임의 발자취] '어스토니시아 스토리 2', 14년 만에 정식 출시된 후속작!
[한국 고전게임의 발자취] '어스토니시아 스토리 2', 14년 만에 정식 출시된 후속작!
한국 게임사의 역사를 이야기할 때, 1994년 발매된 어스토니시아 스토리는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작품이다. 당시 일본과 미국이 게임 시장을 지배하던 시절, 이 게임은 순수 국산 RPG로 큰 반향을
bravonglife.com
2025.01.02 - [게임/고전게임] - [한국 고전게임의 발자취] 창세기전 2 - 한국 게임 역사에 한 획을 긋다!
[한국 고전게임의 발자취] 창세기전 2 - 한국 게임 역사에 한 획을 긋다!
1990년대 중반, 한국 게임 시장은 본격적으로 태동하던 시기였습니다. 당시 국내 게임 개발자들은 외산 게임에 밀려 존재감이 미미했지만, 창세기전 2라는 작품은 국산 게임의 가
bravonglife.com
'게임 > 고전게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팀에서 즐기는 고전 RPG의 걸작, 크로노 트리거 (Chrono Trigger) (0) | 2025.03.08 |
---|---|
스팀에서 즐기는 고전 RPG의 걸작, 파이널 판타지 6, 왜 다시 해야 할까? (0) | 2025.03.07 |
스팀에서 즐길 수 있는 고전 JRPG 추천, 파이널 판타지 9, 클래식 RPG의 정수! (0) | 2025.03.02 |
[한국 고전게임의 발자취] '강철제국', 한국 전략 시뮬레이션 게임의 새로운 도전! (0) | 2025.01.31 |
[한국 고전게임의 발자취] ‘다크사이드 스토리’, 손노리의 숨겨진 액션 명작 (0) | 2025.01.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