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게임사의 역사를 이야기할 때, 1994년 발매된 어스토니시아 스토리는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작품이다. 당시 일본과 미국이 게임 시장을 지배하던 시절, 이 게임은 순수 국산 RPG로 큰 반향을 일으키며 한국 게임계의 이정표가 되었다. 그리고 2008년, 14년 만에 정식 후속작으로 출시된 어스토니시아 스토리 2는 다소 아쉬운 평가를 받았지만 기존의 팬들에게 새로운 감동과 도전을 안겨주었다.
![[한국 고전게임의 발자취] '어스토니시아 스토리 2', 14년 만에 정식 출시된 후속작! [한국 고전게임의 발자취] '어스토니시아 스토리 2', 14년 만에 정식 출시된 후속작!](http://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no-image-v1.png)
초창기의 영광, 그리고 14년의 기다림
![[한국 고전게임의 발자취] '어스토니시아 스토리 2', 14년 만에 정식 출시된 후속작! - undefined - 초창기의 영광, 그리고 14년의 기다림 [한국 고전게임의 발자취] '어스토니시아 스토리 2', 14년 만에 정식 출시된 후속작!](https://blog.kakaocdn.net/dn/den8hg/btsLUFb3j8Q/BMbl9EO4JRq51tCrVRVKsk/img.jpg)
![[한국 고전게임의 발자취] '어스토니시아 스토리 2', 14년 만에 정식 출시된 후속작! - undefined - 초창기의 영광, 그리고 14년의 기다림 [한국 고전게임의 발자취] '어스토니시아 스토리 2', 14년 만에 정식 출시된 후속작!](https://blog.kakaocdn.net/dn/DdiUc/btsLV76ctLm/oCDgKsyPoe2OWrGb6wUErK/img.jpg)
어스토니시아 스토리는 국내에서 제대로 된 RPG 게임이 드물던 시절, 독창적인 스토리와 매력적인 캐릭터로 유저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한국형 RPG의 시초로 불리며, 이후 한국 게임 개발자들에게도 큰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후속작을 기다리는 팬들의 기대는 긴 시간 동안 충족되지 못했다.
2008년 PSP 전용 소프트웨어로 출시된 어스토니시아 스토리 2는 이런 기다림을 마침내 끝내며, 원작의 전통을 이어받는 동시에 현대적인 변화를 시도했다. 기존 GXG 버전을 바탕으로 그래픽과 콘텐츠를 대폭 강화하며 업그레이드된 모습으로 팬들을 만났다. 특히, 일본에서는 "가넷 크로니클(Garnet Chronicle)"이라는 이름으로 발매되며 글로벌 시장에 진출했다는 점에서도 주목할 만하다.
스토리: 카이난 지팡이 사건 5년 후
![[한국 고전게임의 발자취] '어스토니시아 스토리 2', 14년 만에 정식 출시된 후속작! - undefined - 스토리: 카이난 지팡이 사건 5년 후 [한국 고전게임의 발자취] '어스토니시아 스토리 2', 14년 만에 정식 출시된 후속작!](https://blog.kakaocdn.net/dn/exgfST/btsLVQDxOR7/KWaGpY2pnlJE0pcd4wjOR1/img.jpg)
![[한국 고전게임의 발자취] '어스토니시아 스토리 2', 14년 만에 정식 출시된 후속작! - undefined - 스토리: 카이난 지팡이 사건 5년 후 [한국 고전게임의 발자취] '어스토니시아 스토리 2', 14년 만에 정식 출시된 후속작! - undefined - 스토리: 카이난 지팡이 사건 5년 후](https://blog.kakaocdn.net/dn/dwCkRy/btsLVPq7ppk/YRYjPGA8QYk5sKyzdUh5r0/img.jpg)
어스토니시아 스토리 2는 전작의 ‘카이난의 지팡이 강탈 사건’으로부터 5년 후를 배경으로 한다. 주인공 킬리안은 라테인 제국의 명문 사관학교를 졸업한 팔라딘으로, 고대 유물 사념석을 둘러싼 음모와 진실을 파헤치게 된다. 여정을 통해 그는 하프엘프 트레저 헌터 스피넬, 천재 마법사 헨슨, 파문당한 사제 겔트 등 다양한 동료들과 함께 모험을 떠난다.
이야기의 중심에 있는 사념석은 고대의 비밀과 강대한 힘을 지닌 유물로, 이를 차지하려는 여러 세력 간의 대립과 음모가 스토리를 풍성하게 만든다. 스토리 전개는 전작의 향수를 불러일으키면서도 새로운 캐릭터와 설정을 추가해 신선함을 더했다. 주요 등장인물들 간의 갈등과 성장, 그리고 각자의 목적을 이루기 위한 여정은 게임의 몰입감을 한층 높였다.
게임 시스템: 전략과 액션의 조화
![[한국 고전게임의 발자취] '어스토니시아 스토리 2', 14년 만에 정식 출시된 후속작! - undefined - 게임 시스템: 전략과 액션의 조화 [한국 고전게임의 발자취] '어스토니시아 스토리 2', 14년 만에 정식 출시된 후속작!](https://blog.kakaocdn.net/dn/NQ2ne/btsLUB8s2hW/02ECVkLMfoOGJ1MY6iVeQK/img.jpg)
![[한국 고전게임의 발자취] '어스토니시아 스토리 2', 14년 만에 정식 출시된 후속작! - undefined - 게임 시스템: 전략과 액션의 조화 [한국 고전게임의 발자취] '어스토니시아 스토리 2', 14년 만에 정식 출시된 후속작!](https://blog.kakaocdn.net/dn/bHSlPr/btsLUYoTvbK/sfZLHvF2Y3RxWSxKEC1Lvk/img.jpg)
어스토니시아 스토리 2는 전작의 턴제 전투 방식에서 벗어나 ATB(Active Time Battle) 시스템을 채택하며 박진감 넘치는 전투를 구현했다. 이 시스템은 실시간 요소를 도입해 전투의 긴장감을 높였으며, 크리티컬 콤보와 기습 시스템 등을 통해 다채로운 전투 경험을 제공했다.
기습 시스템은 몬스터와의 교전을 더욱 전략적으로 만들어주었다. 적의 이동 경로를 예측하고, 기습할 타이밍을 파악해야 승리할 수 있었으며, 반대로 기습을 당하면 큰 피해를 입는 위험 요소가 있었다. 이러한 요소들은 플레이어에게 단순히 강한 스킬을 사용하는 것을 넘어서는 깊이를 제공했다.
또한, 스킬 트리 시스템은 캐릭터 육성의 자유도를 높였다. 각 캐릭터는 플레이어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스킬과 능력을 배울 수 있어, 유저의 플레이 스타일에 맞는 전략적 선택이 가능했다. 연계 스킬과 상태 이상 효과 등 다양한 요소는 전투의 재미를 배가시켰다. 한편, 연계 스킬은 캐릭터 간의 협력을 강조하며, 화려한 이펙트와 강력한 효과로 플레이어들에게 시각적 즐거움을 선사했다.
PSP에 최적화된 그래픽과 연출
![[한국 고전게임의 발자취] '어스토니시아 스토리 2', 14년 만에 정식 출시된 후속작! - undefined - PSP에 최적화된 그래픽과 연출 [한국 고전게임의 발자취] '어스토니시아 스토리 2', 14년 만에 정식 출시된 후속작!](https://blog.kakaocdn.net/dn/vauJN/btsLWqdnLMz/RNg263Q96wSU4VdRgs1yBK/img.jpg)
![[한국 고전게임의 발자취] '어스토니시아 스토리 2', 14년 만에 정식 출시된 후속작! - undefined - PSP에 최적화된 그래픽과 연출 [한국 고전게임의 발자취] '어스토니시아 스토리 2', 14년 만에 정식 출시된 후속작!](https://blog.kakaocdn.net/dn/XJECA/btsLWRBKzn6/JYBJPKpy9CELdUXiZYzGp0/img.jpg)
PSP라는 플랫폼의 성능을 최대한 활용한 어스토니시아 스토리 2는 당시로서는 뛰어난 그래픽을 자랑했다. 쿼터뷰 시점의 필드와 던전, 화려한 스킬 이펙트, 감정이 묻어나는 캐릭터 대화 장면은 플레이어에게 몰입감을 선사했다. 특히, 필드와 던전 곳곳에서 만날 수 있는 다양한 환경과 디테일은 게임 세계를 탐험하는 즐거움을 더해주었다.
특히, 전작에서 부족했던 연출 부분이 크게 강화되었다. 주요 이벤트와 전투 중 애니메이션 연출은 게임의 완성도를 높였으며, 캐릭터 간의 유머러스하면서도 진지한 대화는 어스토니시아 스토리 특유의 감성을 유지했다. 컷씬의 연출과 음성 더빙은 캐릭터와 스토리의 생동감을 더해주며, 당시 국산 RPG의 기술적 한계를 뛰어넘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평가와 유산
![[한국 고전게임의 발자취] '어스토니시아 스토리 2', 14년 만에 정식 출시된 후속작! - undefined - 평가와 유산 [한국 고전게임의 발자취] '어스토니시아 스토리 2', 14년 만에 정식 출시된 후속작!](https://blog.kakaocdn.net/dn/Mex5o/btsLWsbcmkl/DSWADtMVdbISWRdRczEsbK/img.jpg)
![[한국 고전게임의 발자취] '어스토니시아 스토리 2', 14년 만에 정식 출시된 후속작! - undefined - 평가와 유산 [한국 고전게임의 발자취] '어스토니시아 스토리 2', 14년 만에 정식 출시된 후속작!](https://blog.kakaocdn.net/dn/kHGKx/btsLVLvu5Ll/XOzHgdqbyqbtMw15mt7W7k/img.jpg)
어스토니시아 스토리 2는 많은 팬들의 기대를 충족시키는 한편, 일부에서는 참신함 부족에 대한 아쉬움을 남기기도 했다. 전투 시스템이나 스토리 전개에서 기존 RPG와의 차별화가 부족하다는 비판도 있었다. 그러나 PSP 플랫폼에 최적화된 그래픽과 시스템, 방대한 시나리오와 전략적인 전투는 여전히 많은 이들에게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이 게임은 단순한 후속작을 넘어, 국산 RPG의 명맥을 이어가며 한국 게임사에 중요한 유산으로 자리 잡았다. 게임 내에 숨어 있는 다양한 서브 퀘스트와 특별한 보스전 등은 탐험과 도전을 즐기는 플레이어들에게 큰 재미를 선사했다. 또한, 1편의 향수를 자극하는 요소들은 오랜 팬들에게 특별한 의미로 다가왔다.
맺음말
어스토니시아 스토리 2는 단순한 게임 이상의 의미를 지닌 작품이다. 한국 게임 개발사들이 글로벌 시장에서 주목받는 현재, 이 게임은 국산 RPG가 걸어온 길과 앞으로 나아갈 방향성을 보여준다. 14년의 공백을 넘어 출시된 이 게임은 많은 기대를 받았지만 기대만큼 아쉬움도 큰 작품이었다. 하지만 끊임없이 도전하는 국내 개발사들의 노력에는 찬사를 보내고 싶다.
최근 어스토니시아 스토리의 새로운 리메이크의 게임 개발 화면이 공개되었다. 많은 사람들이 이번 리메이크작의 성공으로 포가튼 사가도 리메이크해줬으면 하는 바람을 보이고 있었다. 그만큼 손노리가 90년대 게이머들에게 남긴 향수는 게임 그 이상의 것으로 평가 받아 마땅하다고 생각한다.
'플랫폼별 게임 > 고전게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고전게임의 발자취] ‘다크사이드 스토리’, 손노리의 숨겨진 액션 명작 (0) | 2025.01.30 |
---|---|
[한국 고전게임의 발자취] 한국 RPG 역사를 바꾼 걸작, 악튜러스(Arcturus) (0) | 2025.01.29 |
[한국 고전게임의 발자취] '화이트데이', 한국적 감성을 녹여낸 국산 호러 명작! (0) | 2025.01.27 |
[국산 고전게임의 발자취] 포가튼 사가, 독특한 프리 시나리오와 방대한 세계관, 하지만 심각한 버그와 미완성 (0) | 2025.01.23 |
[한국 고전게임의 발자취] ‘카르마’, 한국 게임 최초의 폴리곤 RPG (0) | 2025.01.22 |
댓글